시사/자산 관리

20대 소비 습관 리포트 – Z세대는 재테크일까, 플렉스일까?

보현이 2025. 5. 13. 15:00
반응형

20대는 ‘돈을 안 쓴다’고 말하지만,
SNS에선 하루 새벽배송 3번, 스타벅스 일 2회, 여행 인증샷이 넘쳐납니다.

절약과 지출이 동시에 보이는 이 세대.
그 주인공은 바로 Z세대, 1995~2010년생.
이들의 소비 습관은 단순히 ‘절약한다’, ‘지출한다’는 이분법이 아닙니다.

오늘은 20대의 소비 습관을 '재테크형' vs '플렉스형'으로 나누어
실제 데이터와 브랜드 전략을 바탕으로 분석해봅니다.


▶ Z세대의 양면 소비 성향

💳 소비 유형 ① 재테크형 Z세대

  • 저축, 투자, 금융 앱 사용 적극적
  • 자산관리 앱(토스·핀크·뱅크샐러드) 가입률 20대가 최다
  • 주식/ETF에 빠르게 진입 (대학생이 처음으로 주주가 되는 시대)
  • SNS에서도 ‘#짠테크’, ‘#월세탈출’ 콘텐츠 인기

🛍 소비 유형 ② 플렉스형 Z세대

  • 인증을 위한 소비, 감성소비 중요
  • 스타벅스, 나이키, 애플, 뚜렷한 브랜드 충성도
  • ‘지금 아니면 못 사’ 심리 강함
  • "사는 이유요? 내 기분이니까요."

📊 실제 통계로 본 Z세대 소비

소비 항목소비 성향
커피·간식 플렉스 (1일 2회 소비 다수)
금융·보험 재테크 (소액적금, 주식 계좌 개설 비율 ↑)
디지털 기기 플렉스 (아이폰 점유율 20대에서 압도적)
외식·배달 플렉스 (야식 포함 월 평균 15회 이상)
자산관리 앱 재테크 (토스앱 사용자 중 30%가 20대)
 

▶ 왜 이런 소비가 동시에 일어날까?

1. 💼 미래 불안 → 재테크 필요 인식

  • “부모 세대처럼 살 수 없다”는 인식
  • 월급만으론 부족 → 소득 파이프라인 관심
  • 짠테크 + 투자 + 자동저축 루틴으로 돈을 다룰 줄 아는 세대

2. 😮 소셜 압력 → 소비 인증의 시대

  • SNS에서 소비 자체가 자존감 지표
  • 무지출 인증도 콘텐츠, 명품 개봉도 콘텐츠
  • ‘내 소비가 내 컨텐츠’가 되는 시대

3. 🧠 자기보상 심리

  • 작은 기쁨에 돈을 쓰고, 큰 것은 아낀다
  • 저축해도 치킨 하나쯤은 괜찮아
  • “절약하다가 플렉스 한 번 하면 더 달다”

▶ Z세대는 어떤 소비자일까?

특성설명
가치소비 중시 가격보다 브랜드 철학, 감성 중요
결정이 빠르다 리뷰·영상 중심 판단, 구매 전환 시간 짧음
소액 반복 소비 큰 소비보다 커피, 택시, 간편식 등 일상 비용에 집중
정기구독 선호 OTT, 커피, 운동 등 라이프스타일 중심
‘경험’ 소비 중심 소유보다 체험, 인증, 공유가 핵심
 

💬 핵심 키워드 정리

  • #가심비
  • #루틴소비
  • #실속+플렉스 공존
  • #인증소비
  • #자기효능감소비

▶ 브랜드와 시장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나?

✔ 브랜드 전략 변화

  • 스타벅스: 리저브, 굿즈, 시즌 텀블러 → 감성+소장욕 자극
  • 애플: 기기 자체보다 생태계 강조 → 나만의 루틴 완성
  • 커피빈, 블루보틀 등: SNS 인증 가능한 매장 디자인 강화
  • 제로베이스 제품: ‘Z세대 전용’ 화장품·의류 브랜드 급부상

✔ 금융사 전략 변화

  • 토스: 미션 기반 저축 게임화
  • 신한·국민은행: 대학생 전용 체크카드 혜택 확대
  • 토스뱅크·케이뱅크: Z세대 신용대출 맞춤 설계
  • 연금 앱: MZ 맞춤형 카드뉴스/콘텐츠로 유입 확대

✅ 결론 – 20대는 이중소비를 한다

✔️ Z세대는 ‘절약도 하고 플렉스도 하는 세대’입니다.
✔️ 이는 모순이 아니라, 전략입니다.
✔️ ‘내 삶에 맞게 선택하고 소비하는 똑똑한 개인’들이
👉 Z세대 소비 시장의 중심입니다.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구독으로 다음 콘텐츠도 응원해주세요 😊

이 게시물도 참고하면 좋아요.

 

자산 리포트 루틴, 한 달에 한 번 점검하면 인생이 바뀐다

돈을 모으려는 사람은 많지만,자신의 돈이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적습니다.자산관리의 시작은 ‘투자’도 ‘절약’도 아닙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나의 자산을 한눈에

lentobb.tistory.com

 

 

월급 받자마자 증권사 CMA로 쪼개라 – 20대 돈 관리의 시작은 ‘흐름 분리’다

“돈을 벌기 시작했는데도, 왜 항상 통장에 남는 게 없을까?”대부분의 20대가 자산관리를 시작할 때 겪는 공통된 고민이죠.통장을 쪼개고, 가계부를 써보고, 적금도 들지만 뭔가 한 발 빠져나가

lentobb.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