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넛이 웃겼다고, 진짜 돈을 넣었어요
“너무 귀여워서 샀어요”
“도넛 NFT, 진짜 살 수 있는 거였어?”
“오르는 중! 놓치면 손해!”
틱톡과 쇼츠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멘트입니다.
그리고 그 밈은, 어느새 현실의 NFT가 되어 있었습니다.
오늘은 밈에서 시작된 NFT,
그중에서도 수천만 원 단위로 실제 피해가 발생한
도넛·토끼·강아지 NFT 스캠 사례를 통해
밈 NFT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밈 NFT, 어떻게 시작됐을까?
2024년 말부터 틱톡과 유튜브 쇼츠에서는
‘귀엽고 짧은’ 밈들이 폭발적으로 유행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 같은 짤들이 있죠:
- 🍩 도넛이 웃으면서 한 입씩 사라지는 영상
- 🐰 동그란 눈의 토끼가 발버둥치는 3초 밈
- 🐶 입 벌리고 “헉!” 하는 강아지 클로즈업 샷
이런 콘텐츠가 1~2주간 수십만 조회수를 넘기면,
기다렸다는 듯 해당 밈을 ‘NFT화’한 프로젝트들이 등장합니다.
“우리만의 커뮤니티로 만들자!”
“한정 수량입니다!”
“지금 안 사면 늦어요!”
하지만 실제 구조는 어떨까요?
도넛 NFT – 실제 피해 사례
📌 프로젝트명: SweetDonut Club
- 플랫폼: Polygon 기반
- 발행 수량: 999개
- 가격: 약 0.03 ETH (초기 민팅가 기준 약 6만 원)
- 판매 개시 후 2일 내 완판
- 5일 뒤 공식 SNS 및 디스코드 삭제
- 민팅 참여자 750여 명, 총 피해액 약 4,500만 원 추정
📌 CutieDog NFT
- BNB 체인 기반, 쇼츠 기반 강아지 짤 활용
- ‘입벌린 강아지’ 밈에서 영감받은 아트워크
- 초기 민팅 1000개, 0.01 BNB
- 발행 후 48시간 내 rug pull → 유동성 전액 인출
- 민팅자 공식 커뮤니티에서 항의 → 운영자 잠적
이들은 모두 ‘짧고 웃긴 짤’에서 파생된 NFT였습니다.
실체는 없고, 약속도 없으며, 심지어 백서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공통된 펌핑 구조
이런 NFT들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 틱톡·X·쇼츠에서 밈 짤 유행
- NFT 민팅 사이트 오픈 (보통 스퀘어사이트·미디엄 기반)
- 디스코드 커뮤니티 + FOMO 유도
- 민팅 후 가격 급등 → DEX or NFT 거래소에서 거래 유도
- 운영자 or 개발자 유동성 인출 → SNS 삭제
- rug pull (러그풀) 완성
이렇게 만들어진 ‘밈 NFT’는
대부분 짧은 기간 안에 큰 관심을 받고, 순식간에 사라지는 구조입니다.
왜 쇼츠 기반 밈 NFT는 특히 위험한가?
1. 너무 빠른 유행 주기
- 짧게 확산되고, 빨리 소멸됨
- 프로젝트 수명 < 1주일이 대부분
2. 제작자 정보 없음
- 익명 트위터 계정이 99%
- 개발팀이나 아트팀 공개 안 함
- rug pull 시 법적 대응 불가
3. 커뮤니티 강제감성
- “우리만 아는 밈이에요!”
- 소속감으로 가격 방어 유도
- 실상은 판매와 탈출 준비 중
4. 검증되지 않은 스마트 계약
- 코드 리뷰 없음
- 민팅 완료 후 유동성 조작 쉬움
살아남은 밈 NFT도 있을까?
사례는 적지만 존재합니다.
📌 Milady Maker (이른바 ‘소녀 밈’ 프로젝트)
- ETH 기반, 트위터 밈으로 시작
- 커뮤니티 주도 → Elon Musk 언급
- 외부 밈 콘텐츠와 연결, 지속적인 콘텐츠 리뉴얼
- 현재도 거래소에 상장 중이며 커뮤니티 존재
📌 Nyan Cat Original NFT
- 밈의 원작자가 직접 제작
- 희소성 + 저작권 명확
- 소장적 가치 + 2차 거래 가능성 보유
✔️ 차이점은 **“진짜 스토리”**와 **“실체가 있는 제작자”**라는 점입니다.
당신이 NFT를 살 때 꼭 확인해야 할 것
✅ 해당 밈의 원작자가 참여하고 있는가?
✅ 백서, 로드맵, 민팅 수익 사용계획이 공개되어 있는가?
✅ 운영팀 정보가 실명 기반으로 공개되었는가?
✅ 민팅 후 일정 기간 락업 구조가 있는가?
✅ 외부 커뮤니티(예: 레딧, 트위터 등)에서 검증된 프로젝트인가?
하나라도 No라면,
그 NFT는 투자 대상이 아닌 “짧은 불장용 도박칩”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귀여움은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무기는, 생각보다 강력하게 우리의 지갑을 노립니다.
밈 NFT는 콘텐츠와 놀이로는 소비해도 좋지만,
돈을 넣는 순간부터는 철저히 위험 자산입니다.
**“도넛 하나가 나를 웃겼다”**는 이유로
**“그 도넛 NFT를 샀다”**면,
당신은 이미 누군가의 빠른 EXIT 전략에 말려든 겁니다.
이런 글이 도움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으로 다음 콘텐츠도 응원해주세요 😊
이 게시물도 참고하면 좋아요.
NFT는 죽었는가? – 실사용 가능한 NFT와 투기성 프로젝트 구분법
“한때 수천만 원 하던 NFT,지금은 무료로도 안 팔립니다.그런데 진짜 끝일까요?”NFT는 2021~2022년까지 투자 열풍의 중심이었습니다.BAYC, 크립토펑크, 아즈키 등 ‘PFP NFT’가 억대에 거래됐고,연예
lentobb.tistory.com
💣 루나 사태 이후 배워야 할 투자 교훈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적 한계“시가총액 10위권 코인이 0원이 됐습니다.왜 아무도 몰랐을까요?”2022년 5월, 암호화폐 시장에서 전례 없는 일이 벌어졌습니다.전 세계 거래소에 상장돼
lentobb.tistory.com
'💸재무 관리 > 가상 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하면서 돈 번다? 게임코인 투자 가이드 – 살아남을 프로젝트는 따로 있다 (1) | 2025.05.07 |
---|---|
밈 투자, 왜 자꾸 당할까? – 브레인로트 투자자 유형 3가지 (0) | 2025.05.07 |
루피 코인, 진짜 있습니다 – 밈코인 스캠일까? 현실 분석 (0) | 2025.05.07 |
NFT는 죽었는가? – 실사용 가능한 NFT와 투기성 프로젝트 구분법 (1) | 2025.05.05 |
💣 루나 사태 이후 배워야 할 투자 교훈 (1)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