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 관리/가상 화폐

💣 루나 사태 이후 배워야 할 투자 교훈

보현이 2025. 5. 2. 04:46
반응형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적 한계

“시가총액 10위권 코인이 0원이 됐습니다.
왜 아무도 몰랐을까요?”

2022년 5월, 암호화폐 시장에서 전례 없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전 세계 거래소에 상장돼 있던 루나(LUNA)가 단 하루 만에 99% 폭락했고,
같은 생태계의 스테이블코인 테라USD(UST)는 1달러 페깅을 잃고 0.02달러까지 추락했습니다.

이 사태는 수많은 개인 투자자들의 자산을 증발시켰고,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신뢰 위기를 일으킨 사건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루나 사태의 구조적 배경과 무너진 이유,
그리고 투자자로서 우리가 반드시 배워야 할 교훈들을 정리합니다.


🌕 루나와 테라USD는 어떤 구조였을까?

루나 생태계의 핵심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입니다.

✅ 테라USD (UST)

  • 1 UST = 1 USD로 고정된 가격을 유지하는 코인
  • 그런데 법정화폐나 자산으로 담보되지 않고,
  • 루나(LUNA)라는 자매 코인을 소각/발행하며 가격을 조정하는 구조

✅ 가격 조정 로직

  • 1 UST가 1달러 이상 → 루나를 소각하고 UST 발행
  • 1 UST가 1달러 미만 → UST를 소각하고 루나 발행

이 구조는 루나의 시가총액이 충분할 때는 작동하지만,
신뢰가 깨지고 UST가 대량으로 매도되면 구조 전체가 붕괴되는 리스크가 있었습니다.


🔥 붕괴 과정 요약 (2022년 5월)

시점사건
5월 7일 3억 달러 규모 UST 대량 매도 발생
5월 8~9일 UST 디페깅 시작 → 1달러 아래로 하락
5월 10일 루나 발행량 폭증 → 시장에 루나 물량 쏟아짐
5월 11~13일 루나 가격 100달러 → 0.0001달러대 추락
5월 14일 바이낸스 등 주요 거래소 루나 상장폐지
 

▶ 하루 수천억 원 단위의 손실
▶ 루나-UST 전체 생태계 붕괴


🧠 왜 이 구조는 실패했는가?

1️⃣ 담보 없는 알고리즘 설계

  •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예치금(USDC), 국채(USDT) 등으로 담보
  • 하지만 UST는 루나라는 변동성 높은 자산만으로 유지

2️⃣ 디페깅 방어 실패

  • 한 번 가격이 무너지면 매도 → 루나 발행량 증가 → 신뢰 붕괴 → 더 매도
  • ‘죽음의 나선(Death Spiral)’ 구조

3️⃣ 지나치게 높은 이자(Anchor Protocol)

  • UST 예치 시 연 20% 이자 제공 → 비정상적 유인
  • 실제 이자는 생태계 펀드에서 보조 → 지속 불가능

4️⃣ 리스크 분산 부재

  • UST가 너무 많은 디앱에서 사용
  • 전체 생태계가 UST-루나 연동 구조에 과도하게 의존

💥 투자자들이 입은 피해

  • 일부 투자자는 수억 원, 심지어 수십억 손실
  • 루나 신규 투자자 중에는 마지막 반등을 노리고 진입했다가 100% 손실
  • Anchor Protocol에 UST 예치한 투자자들도 전액 손실

📚 우리가 배워야 할 5가지 교훈

1️⃣ "담보 없는 고정 자산"은 위험하다

→ 알고리즘만으로 가격을 고정한다는 모델은 시장 심리에 취약

2️⃣ 고수익 보장은 고위험의 경고다

→ 연 20% 이자는 은행이 아니라면 지속 불가
수익률이 높을수록 구조를 의심해야

3️⃣ 코인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면 투자하지 않는다

→ 루나의 구조는 공개돼 있었음에도,
투자자 대부분은 '가격만' 보고 투자함

4️⃣ 분산 투자, 분산 보관은 생존 전략이다

→ 루나·UST에 전자산 올인한 투자자 다수
→ 리스크 분산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

5️⃣ 커뮤니티만 믿고 투자하면 안 된다

→ 당시 루나 커뮤니티는 강력했고,
“UST는 절대 무너지지 않는다”는 분위기 팽배


📈 지금도 존재하는 유사 구조들

프로젝트구조 유사성주의 포인트
Frax (FRAX) 부분 알고리즘 + 부분 담보 안정적이나 투명성 확인 필요
USDN (Waves) 루나와 유사한 알고리즘 구조 디페깅 이력 있음
기타 소형 알고리즘 스테이블 예치 유도 구조 유사 이자율, 담보 구조 확인 필수
 

✅ 결론

루나 사태는 단순한 프로젝트 실패가 아니라,
암호화폐 구조 설계와 투자 심리의 치명적 결합이 만든 사고였습니다.

시가총액 10위, 전 세계 거래소 상장, 탄탄한 커뮤니티라는 겉모습만 보고 투자하면 절대 안 되는 이유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죠.

**"이 정도는 망하지 않겠지"**라는 생각이 가장 위험합니다.
루나 사태는 끝난 사건이 아니라,
앞으로의 투자에서도 반복될 수 있는 경고장입니다.


👉 다음 편에서는 NFT는 죽었는가? – 실사용과 투기 구분법을 주제로 이어갑니다.
글이 도움 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 부탁드립니다!

 

💰 한국인이 주의해야 할 코인 세금(가상 자산 과세)

2027년부터 시작되는 가상자산 과세 총정리“코인으로 수익 냈다고요?2027년부터 ‘이 세금’ 안 내면 탈세입니다.”그동안 코인으로 수익을 내도 세금이 없었죠.하지만 2027년 1월 1일부터, 한국

lentobb.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