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 관리/경제 상식

📘 [7편] 기준금리·실세금리·예금금리 차이, 가장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보현이 2025. 4. 10. 07:00
반응형

뉴스에 나오는 '금리', 왜 헷갈릴까?

경제 뉴스 볼 때 자주 보이는 단어들 있죠.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실세금리 상승”, “시중 예금금리 하락” 등…

전부 '금리'인데 도대체 뭐가 다른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금리 3종 비교를 통해 헷갈림을 없애드릴게요.
실생활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기준금리란?

✔️ 정의: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
✔️ 누가 정하나요?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FOMC 비슷한 개념) ✔️ 변동 주기: 보통 매달 1회, 시장 상황 따라 인상/인하 결정 ✔️ 목적: 경기 부양 or 억제를 위해 전체 시장 금리 조절

📌 영향력:

  • 대출금리·예금금리 모두 기준금리 따라 움직임
  • 부동산 시장, 주식시장, 소비심리에도 직접 영향

실세금리란?

✔️ 정의: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리
✔️ 예시: 은행 간 자금 거래, 채권시장, 회사채 금리 등 ✔️ 특징: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지만, 시장 상황 따라 유동적

📌 쉽게 말하면?
→ 이론이 아닌 현실에서 돈이 움직이는 실제 금리

예: 기준금리가 3.5%여도, 은행 간 단기 자금 거래가 3.8%면 실세금리는 3.8%


예금금리란?

✔️ 정의: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길 때 적용되는 금리
✔️ 기준: 기준금리 + 은행의 마진 + 경쟁 상황에 따라 결정 ✔️ 유형: 정기예금, 적금, 파킹통장 등 상품별로 다름

📌 중요한 점:

  • 예금금리는 실세금리보다 늦게 반응
  • 기준금리 인상해도, 예금금리는 바로 오르지 않음 (시차 발생)

세 금리의 비교표로 한눈에 정리

항목기준금리실세금리예금금리

결정 주체 한국은행 시장 (자율) 은행 (상품별)
기준 시점 정책 발표일 실시간 시장 시중은행 공지 기준
용도 통화 정책 자금 거래 일반 소비자 대상
반응 속도 가장 먼저 변동 유동적, 빠름 느림 (시차 존재)

금리를 이해하면 뉴스가 다르게 보인다

세 가지 금리를 구분할 수 있으면
경제 뉴스, 대출 전략, 예금 상품 선택이 전혀 다르게 다가옵니다.

특히 요즘처럼 금리 변동이 잦은 시기에는
“기준금리는 그대로인데 왜 예금금리는 떨어졌지?” 같은 궁금증도
이제 스스로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구독으로 함께 경제 루틴을 이어가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