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가 지표? 둘 다 물가 얘기인데 뭐가 달라?
5분만에 투자자도, 취준생도 구분할 수 있게 알려줄게.
💡 CPI와 PPI 한 줄 정의
구분용어뜻누구 입장에서 보는 물가?
🌡️ 소비자물가지수 | CPI (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가 물건 살 때 체감하는 물가 | 소비자 입장 |
🧱 생산자물가지수 | PPI (Producer Price Index) | 생산자가 상품 만들 때 드는 원가 | 기업 입장 |
📊 왜 중요한 지표인가요?
지표투자자가 보는 관점시장 영향
CPI | 물가 상승 속도 파악 → 금리 결정 기준 | 높으면 금리 인상 가능성 ↑ |
PPI | 기업 마진 압박 여부 판단 | 높으면 비용 증가 → 기업 수익성 ↓ |
📌 CPI 발표가 시장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는 경우가 많음 (특히 미국 주식시장)
🗓️ 2025년 발표 일정 (미국 기준)
지표발표 날짜 (예정)주체참고 사항
CPI | 4월 10일 (수) | 미국 노동부 (BLS) | 전월 소비자 물가 발표 |
PPI | 4월 11일 (목) | 미국 노동부 (BLS) | 전월 생산자 물가 발표 |
✔️ 보통 매월 둘째 주에 전월 자료 발표됨
✔️ 발표 시간은 한국 기준 21:30 (서머타임 기준)
📈 예시로 비교해볼까?
예시
- CPI가 3.8% 상승 = 전년 대비 소비자 가격 3.8% 올랐다
- PPI가 4.5% 상승 = 생산 원가가 더 많이 올라 → 기업 수익성 압박 가능성 ↑
🧠 시험·면접용 핵심 키워드 요약
- CPI: 소비자 기준, 체감 물가 → 소비자 지출 압박 여부 판단
- PPI: 기업 기준, 생산 원가 → 물가 선행 지표로도 활용
✅ 물가는 대부분 CPI를 기준으로 본다
✅ 하지만 PPI가 먼저 상승 → 이후 CPI에 반영되므로 선행지표로 중요!
🎯 이런 사람에게 도움돼요!
- 주식·채권 투자자 (인플레이션 센서 필요)
- 취준생/면접 준비생 (경제 상식 + 시사 이해도 상승)
- 시사에 관심 있는 대학생 (학회 발표 활용 가능)
반응형
'💸재무 관리 >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편] 환율 오르면 왜 물가가 오를까? 실생활 중심 정리 (7) | 2025.04.09 |
---|---|
📘 [5편] 경제기사 쉽게 읽는 법 – 용어 해설 & 꿀팁 (5) | 2025.04.08 |
📘 [4편] 인플레이션이 뭐예요? – 경제 상식 쉽게 정리하기 (3) | 2025.04.08 |
📅 [3편] 2025년 4월 경제 일정 캘린더 – 투자자와 대학생을 위한 핵심 정리 (0) | 2025.04.08 |
📘 [1편] FOMC란? 5분만에 이해하는 기준금리 결정회의 + 2025년 전체 일정표 (1)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