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도약계좌, 왜 이렇게 핫할까?
2025년, 청년들의 목돈 마련 필수템으로 떠오른 ‘청년도약계좌’.
5년 동안 납입하면 최대 5,000만 원 이상 목돈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가입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 중간에 해지하고 싶을 때
- 소득이 줄거나
- 갑자기 목돈이 필요할 때
이럴 때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면 어떤 손해가 발생하는지
구체적으로 계산해서 알아보자.
1️⃣ 청년도약계좌 기본 구조 다시 정리
✔ 대상: 만 19~34세 청년
✔ 소득요건: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 기간: 5년
✔ 납입한도: 월 최대 70만 원
✔ 정부지원: 소득 구간별로 저축 장려금 +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
👉 핵심은
‘개인 저축’ + ‘정부지원금’ + ‘비과세 이자’
이 세 가지가 5년 동안 합쳐진다는 것.
2️⃣ 중도해지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단순한 해지가 아니다.
거의 대부분의 혜택을 박탈당한다.
✔ 정부지원금 전액 반환
✔ 비과세 혜택 소멸 → 기존 이자에 소득세 부과
✔ 적립기간에 따른 이자 재조정 가능성
요약하면:
👉 본인이 납입한 돈 + 은행 기본이자만 받음
👉 정부가 지원해준 부분은 몽땅 반납해야 한다.
3️⃣ 실제 손익 계산
가정:
- 월 50만 원씩 2년 동안 납입
- 예상 총 저축액: 1,200만 원
- 이자수익: 약 30만 원 (연 2.5% 가정)
- 정부지원금: 약 200만 원
중도해지 시:
본인 납입금 | 1,200만 원 |
기본이자 (세후) | 약 24만 원 (15.4% 이자소득세 차감) |
정부지원금 | 0원 (전액 환수) |
최종 수령액 | 약 1,224만 원 |
👀 정부지원금 200만 원 사라지고,
기대했던 비과세 이자까지 일반 과세로 돌려받는 셈.
4️⃣ 청년도약계좌 해지 주의사항
🔹 해지 시점 중요
- 가입 후 1년 이내 해지: 추가 패널티 가능성
- 가입 3년 차 이상 유지 후 해지: 정부지원 일부 유지할 수 있는 케이스도 생길 수 있음 (추후 세부 기준 발표 예정)
🔹 사용목적 예외 인정
- 주택구입, 결혼, 질병치료 등 ‘사회적 사유’로 인정되면
일부 불이익 면제 가능
🔹 해지 시 세금
- 비과세 혜택 소멸
- 이자소득세 15.4% 공제
🔹 해지 절차
- 개설 은행 방문 or 앱 통해 해지 신청
- 정부지원 환수금은 자동 차감 후 지급
5️⃣ 언제 해지해도 괜찮을까?
✅ 권장 X: 단순 소득 감소, 귀찮음, 돈 필요
✅ 고려 가능:
- 긴급 의료비
- 부채 상환(과도한 이자 부담)
- 생계 유지 불가 상황
👉 그냥 돈 필요하다고 해지하는 건 손해가 너무 크다.
5년이라는 시간이 길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정부가 주는 지원금 규모와
이자 혜택을 생각하면 웬만하면 유지하는 게 무조건 이득이다.
✍️ 마무리 – 청년도약계좌, 해지는 최후의 수단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
정부와 개인이 함께 만든 장기 자산 형성 프로젝트다.
조금만 참으면
- 최대 5천만 원 목돈
- 이자소득세 면제
- 정부지원금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중도해지로 날려버리기는 너무 아깝다.
해지가 고민된다면
❗ 먼저 사용 가능한 다른 금융 대안을 찾고
❗ 그래도 방법이 없을 때만 신중하게 결정하자.
💬 이 글이 현실적인 도움이 됐다면,
공감 + 댓글 + 구독 부탁드릴게요!
더 많은 실전 금융 꿀팁 시리즈 이어갑니다.
'💸재무 관리 > 자산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청년도약계좌 대안, 실속형 청년 목돈 마련 통장 3가지 정리 (0) | 2025.04.24 |
---|---|
자동차 보험료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이것! 체크 하나로 1년에 20만 원 줄이는 사람들, 다 이거 했습니다 (2) | 2025.04.19 |
📘 [1억모으기 10] 1억 달성 후의 플랜 – 투자 or 자기계발로의 확장 (4) | 2025.04.16 |
📘 [1억모으기 9] 소득 증가에 따른 단계별 전략 – 1,000 → 3,000 → 5,000 이상 (5) | 2025.04.16 |
📘 [1억모으기 8] 지출 줄이기: 돈 안 새는 소비 루틴 정리 (1) | 2025.04.16 |